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협회소식

> 알림마당 > 협회소식

2025년 통관애로 지원센터 설문조사 (AEO MRA 혜택체감도) 결과안내

관리자 2025-07-10 조회수 52

2025년 통관애로 지원센터 설문조사 (AEO MRA 혜택체감도) 결과안내

- 지속해서 공인기업의 의견을 수렴하고 제도 개선에 앞장설 것 -





  우리 협회는 수출입 기업을 대상으로「AEO MRA 혜택 체감도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AEO MRA 혜택체감도, 적용절차 인지도 및 추가 개선 요구사항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공인등급이 높거나 제도 활용 절차를 잘 숙지한 기업일수록 AEO MRA 혜택 체감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 등급인 AAA 기업 대부분이 혜택을 체감하고 있으며, AEO CODE를 적극 활용하는 기업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중견기업 및 대기업은 전담 인력 배치통관 시스템 구축 등 제도 활용에 필요한 기반이 비교적 잘 갖춰져 있어 AEO MRA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에 따라 혜택 체감도도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 응답 기업 중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AEO MRA 제도의 혜택을 충분히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특히 공인등급이 낮거나 AEO CODE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기업, 그리고 활용 여건이 충분하지 않은 중소기업일수록 AEO MRA 체감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현상은 국가별 혜택 적용방법에 대한 정보 미비활용자료(사례집) 부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었으며, 보다 적극적인 AEO 정보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협회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AEO MRA 혜택의 활용성을 높이고 공인기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AEO CODE 활용을 포함한 실무교육 및 절차별 가이드제작 ▲혜택 체감률 낮은 국가를 중심으로 애로사례 수집 및 개선 건의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앞으로도 우리 협회는 공인기업의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AEO 제도의 실효성 제고와 기업부담 완화를 위해 지속적으로노력하겠다.




■조사기간 : 2025년 3월 13일 ~ 2025년 4월 4일
■조사대상 : 89개 공인기업 (수출입부문)
■ 조사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
■조사내용 : ➀ 국가별 AEO MRA 혜택 체감도  ➁ AEO MRA 혜택 적용 절차 숙지도  ③ AEO CODE 신청관련  ④ 신속통관 혜택 경험 여부  ⑤ 추가 AEO MRA 혜택



 `25년 통관애로 지원센터 설문조사(AEO MRA 혜택 체감도) 결과 바로가기

TOP